애플 WWDC17에서 iPad Pro 10.5와 iMac Pro, 그리고 HomePod 이렇게 3개의 하드웨어 신제품이 소개되었다. 더불어 맥북, 맥북프로, 아이맥, 아이패드프로12.9도 리프레쉬 되었다. (한국시간 6월 6일 새벽)
19분으로 요약한 WWDC17 키노트 (The Verge)
1) 아이패드프로10.5: 256기가 용량에 LTE 셀룰러 버전을 선택하면 108.9만원에 주문이 가능하다.
디자인은 기존과 유사하고, 2224 x 1668 해상도를 지원하며 9.7인치 모델보다 20% 정도 화면이 커졌다.
물리적인 사이즈도 커졌다. (250.6 x 174.1 x 6.1 mm)
화면 리프레쉬 레이트가 무려 120Hz
당연히 성능도 더 좋아졌다. (6개 코어가 들어간 A10X 퓨전 프로세서 탑재)
2) 아이맥프로: 이번 발표의 최고 하이라이트다. 근사한 스페이스 그레이 컬러에 최대 18코어 제온 프로세서 (기본 8코어), 최대 128기가 메모리 (기본 32기가), 최대 4TB SSD (기본 1TB SSD), 라데온프로 베가 GPU, 그리고 새롭게 디자인된 스페이스 그레이 무선 키패드와 마우스까지... 국내 출시 가격이 관건이긴 한데, 아주 완벽하게 업그레이드 되었다. (17년 12월 출시예정이다. $4999 부터)
3) 홈팟: 요즘 경쟁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 대열에 애플도 홈팟으로 참전한다. 시리와 애플뮤직, 에어플레이2 지원만으로도 단숨에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영어만 지원하고 가격은 $349로 공개되었다. (17년 12월 출시 예정)
- 1월 27일 LG전자가 발표한 지난해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58조1404억원, 영업이익은 1조2847억원을 달성했다. 2012년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소폭 성장했지만, 영업이익률은 2.2%에 불과하다.
- LG전자 임원 출신의 한 인사는 "LG전자의 컨설팅을 맡았던 매킨지가 '스마트폰은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고, 이 말을 믿고 스마트폰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것이 가장 큰 실책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LG전자의 또다른 문제점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불리는 중국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2012년 기준 중국 지역 매출은 전체 매출의 4%에 불과하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과거 가전제품을 위주로 중국 시장 공략을 짰었는데, 현지기업들의 약진에 속수무책으로 밀렸다"면서 "스마트폰은 삼성·애플을 제외한 다른 외산 브랜드는 존재감이 없다"고 말했다.
450. 현재 왓츠앱 사용자는 4억5000만명이 넘는다. 왓츠앱이 사용자가 2억명이 넘었다고 발표한 것이 불과 9개월전. 이미 그때 트위터 사용자를 넘어선 숫자였다. 이후 일간 사용자 수가 72%씩 늘어났다. 그는 "관련산업 평균이 10~20%인 것과 비교하면, 왓츠앱은 역사상 어떤 다른 회사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늘어난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왓츠앱은 사용자가 메신저를 사용하는데 있어 새로운 연락처를 만들 필요가 없이 모바일에 등록돼 있는 기존 연락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단순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32. 왓츠앱의 직원 숫자이다. 왓츠앱의 개발자 한 사람이 1400만명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는 셈이다. 이 적은 수의 엔지니어들이 매일 iOS, 안드로이드 등 7개의 플랫폼을 통해 오가는 500억개의 메시지를 안전하게 관리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는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에서 들어본 적이 없는 엄청난 기록"이라고 말했다.
1. 잰 쿰의 책상 위에는 메모가 한 장 있다. 'No Ads! No Games! No Gimmicks!'(광고도 없고, 게임도 없고, 어떤 다른 장치도 없다)'는 것. 왓츠앱은 1년간 무료 사용한 후에 연간 사용료 1달러를 내도록 돼 있다. 이들은 매일 이 메모를 보면서 순수하게 사용자들의 메시징 경험에만 충실한다는 점을 스스로 각인해왔다.
그는 "우리가 왓츠앱에 투자할 2011년만해도 10여개 다른 경쟁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광고를 싣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왓츠앱은 전통적인 전략, 즉 광고를 배제했고 사용자의 이름, 성별, 주소, 나이 등 모든 개인적 정보들을 수집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0. 왓츠앱은 마케팅에 단 한 푼도 쓰지 않았다. 다른 경쟁자들과 다르게 이들은 사용자들을 얻기 위해 어떤 돈도 쓰지 않았다. 심지어 마케터나 홍보직원도 두지 않고 있다.
12) SOS 콘돔 배달 서비스...
13) ‘겨울왕국’ 공주는 한국인 ‘색맹’ 디자이너 작품... 월트디즈니 스튜디오 최초의 한국인 수석 애니메이터 김상진(56)씨. 김 씨가 '겨울왕국' 속 주인공 자매인 안나와 엘사의 어린시절과 자매의 부모인 왕과 왕비 캐릭터를 직접 디자인한 사실이 국내에 알려지면서 많은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가 수석 애니메이터로서는 이례적으로 색깔을 구분할 수 없는 '색맹'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1933년 도쿄에서 나고 자란 박용귀는 해방을 맞아 가족과 한국으로 돌아왔고 휴전 후에 서울대 회화과에 입학했다.
재학 중이던 1958년에 ‘럭키화학’의 디자이너로 채용되었다. 1959년 2월 금성사가 창립하고 6월에 의장실이 만들어지면서 본격적인 제품 디자이너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3년 한 인터뷰에서 들은 바로는 이 과정이 좀 특이했다. 방학이라 부산 본가에 있던 중에 당시 부산에 소재한 럭키화학 본사에 근무하던 친분있는 사람과 만나게 되었고 미대를 다닌다는 이유로 회사 일에 관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26) 레고 시리어스플레이(Lego Serious Play)는 1990년대 중반 레고사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교수들과 함께 개발한 방법론이다. 피아제의 구조주의와 홀랜드의 복잡적응계 이론 등 여러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레고를 회의 도구로 활용하자는 획기적인 방안이었다. 핵심은 아이디어의 가시화다. 레고시리어스플레이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는 데 레고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결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31)
비즈니스 전략가가 말하는 ‘사업할 때 알아야 할 25가지’ --> 당신이 내놓는 아이디어들은 이미 누군가가 시도했던 것일 가능성이 99% 이상이다. 그렇다고 실망해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완전히 새로운 1%를 찾는 것이 아니라, 실패한 99% 중에서 빛을 보지 못한 진주를 찾아내는 것이다. 실패라고 이름 붙여진 묘지는 사실 보물섬인 셈이다. --> http://ppss.kr/archives/17123
5년도 넘게 써오던 070 전화기가 드디어 맛이 갔다. 이제는 충전독에 꽂아놔도 붉은 LED만 깜빡 거리고 충전이 안된다. 게다가 SW 업데이트한다고 지혼자 뭔가를 자꾸 다운로드했다가 설치했다가 재부팅했다가 아주 난리도 아니다. 결국 LGU+에 전화걸어 최근 출시된 070플레이여2를 주문하였다.
일단, 3년약정 기준으로 유선인터넷은 18,810원, Wi-Fi 100은 1,650원, 070전화는 기본료 3,300원 (라이트요금제)에 070플레이여2와 도킹스피커 기계값 포함해서 한달에 15,000원이다. 총 합계금액은 한달에 35,910원... 그리고, 신세계 상품권 14만원... (처음에는 Wi-Fi 100서비스를 신청해야지만, 070플레이여2를 쓸 수 있다고 해서 그런다고 했는데, 나중에 다시 전화와서는 그럴 필요없었다고 취소하겠냐고 물어봤다. 귀찮아서 취소는 하지 않았다. ㅡ,.ㅡ;;)
1) 디자인 : 기본적으로 갤럭시3 스타일과 동일하다. 당연히 휴대폰으로 그냥 출시되어도 될 정도로 깔끔하고 마무리도 좋다. 거대한 5.8인치 (960x540) 화면 또한 시원시원하다. 다만, 좀 무거운 편이다.
2) 사양도 대만족 : 안드로이드 ICS 4.0 OS에 내장메모리가 무려 16기가, 듀얼코어 1GHz 프로세서, 배터리도 2500mAh로 충분한 편이고, (착탈식 배터리인데, 일반 휴대폰처럼 하나 더 들어있지는 않다.) 비디오는 mkv까지 재생된다. 앞뒤 카메라도 장착되어져 있고, DMB도 나온다. 물론 블루투스4.0, GPS, 외장메모리도 기본지원된다. 아무튼, 070전화기에 이정도까지!! 싶을정도로 좀 과한 사양인 편이다.
3) 통화품질 : 통화품질이 딱히 좋다고 할 수는 없고 기존과 동일한 편이다. 다만, 스피커폰이 되니 엄청 편하다. 화상통화도 된다는데 시도해보지는 않았다. 아쉬운 점은 거리감지 센서,조도센서가 없다는 것... 통화하다가 잠시 귀에서 폰을 떼고 전화번호를 찾거나 스피커폰을 눌러야 할때, 폰이 잠겨버린다. 은근히 귀찮다.
4) 전화통화외 기타 기능 : 삼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터치도 부드럽고 전반적인 시스템 퍼포먼스도 나무랄데 없다. 화면이 크니 게임하기에도 최고...
5) 스피커겸 충전 dock : 도킹크래들은 인켈에서 납품한 것이다. mp3나 라디오 듣기에 나쁘지 않다. 크기도 적당하고 출력도 적당하다. 불편한점 한가지... 070폰을 크래들에 꽂으려 할때 손으로 잡아야 하는 위치가 하필 볼륨키와 전원키가 있는 위치라서 크래들에 전화기를 꽂다가 무음으로 변경되거나 전원이 꺼져버리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KT용 070전화기에 들어가는 크래들은 아이리버에서 제작을 했고 디자인이 훨씬 깔끔하다.
6) U+ 홈서비스 꾸러미 : 대부분 사용할 일 없는 어플들이지만, 엠넷 스트리밍 무료는 꽤 쓸만한듯...
26) 뉴캐슬 대학 연구진과 캠브리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MSR)는 손의 3D 움직임을 추적해 다양한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손목시계 크기의 센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디짓(Digits)으로 알려진 이 기술은 적외선 카메라와 IR 레이저 라인 제너레이터, IR 디퓨즈 일루미네이터(diffuse illuminator), IMU 트랙 등을 이용해 손가락의 움직임과 방향을 탐지한다.
27) 아날로그 감성의 과학화 (삼성경제연구소) : 기술혁신의 속도가 소비자의 요구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가속화하면서 아날로그적 감성이 제품의 차별적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날로그 감성의 과학화란 감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해석하는 과정으로, 감성을 유발하는 요인인 오감을 중심으로 과학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아날로그 감성의 과학화는 식품산업에서 시작되어 점차 화장품, 의류, 자동차, 건축, 환경 등 他산업으로 확산되었다.
32) 실리콘 밸리 스타기업의 사업 스타일 Simple, Focused, Fast (LG경제연구원) : 실리콘 밸리 업체들의 서비스 산업 접근 스타일은 ① Simple idea: 거창한 아이디어를 추
구하기보다 심플한 아이디어로부터 시작, ② Focused target: 모든 고객을 만족시키기 보다는 자기
역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타깃 고객 명확화, ③ Fast execution: 꼼꼼한 검토보다는 당장 시작하고
보는 신속한 추진력, ④ Not cost-based pricing: 원가 중심 사고를 탈피하여 소비자가 만족하는 가격
설정을 통한 가치 추구, ⑤ Small team: 관료적인 속성을 탈피하기 위한 작은 조직 지향 등 5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와... 이건 쓸모를 떠나서 사람의 시선을 잡아 끄는 무언가가 있다. 아무리 기능설명을 읽어봐도 애플TV 그대로 따라한건데 자꾸만 눈길이 간다. 특히나 매력적인 부분은 굵은 스피커 케이블 4개가 길다랗게 연결된 관능적인(?) 모습... 마치 매트릭스에 나오는 기계괴물같은 느낌이다.
1) 일단 스펙을 보자...
① S/PDIF 광케이블 연결 단자 ② 이더넷포트 ③ 마이크로 HDMI 포트 ④ 마이크로 USB ⑤ 스피커잭 (스피커 케이블과 스피커는 구글 플레이에서 구입가능) ⑥ 크기와 무게 : 직경 116mm, 923g ⑦ LED 32개 내장 ⑧ CPU : OMAP4460 (듀얼 ARM Cortex-A9 CPU + SGX540 GPU) ⑨ 메모리 : 16기가 램 + 16기가 플래쉬메모리 ⑩ OS :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⑪ 무선지원 : 무선랜, 블루투스, NFC ⑫ 내장 앰프 : 25W ⑬ 가격 : $299 (북미에서만 판매)
2) 기능 : 단순하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안드로이드 타블렛을 사용하여 구글 플레이와 유튜브내의 노래, 영화, TV드라마등을 스트리밍한다. 다운로드나 동기화작업은 필요없다. 앤디루빈말로는 클라우드와 연결된 거대한 주크박스라고 이해하면 된단다. 디자이너의 애정과 정성이 고스란히 형태로 느껴지는 디자인이란 것은 알겠는데, 결국 구글 클라우드 전용 오디오 시스템... 끝.
데이빗 루이스는 40년이상 Bang & Olufsen의 프리랜스 디자이너로 일해왔습니다.
그는 영국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한 후, 그의 와이프 Marianne을 만나 덴마크로 이주했고 계속 덴마크에서 살았습니다.
60년대 Bang & Olufsen의 디자이너였던 Henning Moldenhawer의 회사에서 디자인일을 처음 시작하였고,
몇 년후에는 독립하여 코펜하겐에 디자인 스튜디오를 차렸습니다.
데이빗 루이스는 Bang & Olufsen에 수십년간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독특한 디자인 방향성 (왜 이런 디자인이어야만 하는가의 접근이 아닌, 왜 이런 것은 안되지? 라는 디자인 프로세스…)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프로세스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많이 탄생시켰습니다.
- BeoVision MX TV : 라우드스피커가 스크린 하단에 위치한 세계최초의 TV
- BeoSound Ouverture : 손이 가까이 가면 자동으로 글라스도어가 열리는 오디오 시스템
- BeoSound 9000 : 자동 글라스도어가 장착된 6매 CD 체인저 오디오 시스템
- BeoLab 8000 : 독특한 파이프형태의 스피커
당연히 데이빗 루이스의 디자인은 국제적인 디자인상을 수없이 수상하였고, 몇몇은 뉴욕 MOMA의 영구소장품이 되었습니다.
또한, 수많은 디자인이 헐리우드 블럴버스터 영화에도 소품으로 등장하여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습니다.
데이빗 루이스는 디자인적인 재능도 훌륭하였지만 항상 겸손하고 성실하였습니다. 그는 엔지니어들과의 소통을 즐겼으며, 고정관념에 도전하며 언제나 완벽한 해결책을 찾으려 노력하였습니다. 사람들이 본인의 디자인을 얼마나 좋아하냐는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토론을 좋아했고, Bang & Olufsen의 디자이너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항상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우리자신 스스로를 끊임없이 갈고닦아야 합니다." 그는 종종 사물을 뒤집어보곤 했고, 조그만 디테일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데이빗 루이스의 스튜디오는 앞으로 Torsten Valeur가 운영을 맡게되고, 계속해서 Bang & Olufsen의 디자인을 책임질 것입니다.
E3 2011에서 발표된 닌텐도 Wii의 새로운 버전 wii U의 컨트롤러에는 세상에나... 6.2인치짜리 터치스크린이 달려있다. 말은 컨트롤러라는데, 실제 그냥 휴대용 게임기라고 해도 머라고 하는 사람은 없을 정도로 완전 종합선물세트다. 즉, 16:9 터치스크린 + 기존 버튼 콘트롤러 + 2개의 아날로그 써클 패드 + 가속도센서 + 자이로센서 + 진동모터 + 카메라 + 마이크 + 스테레오 스피커 + 스타일러스 + 내장 배터리까지... 현재 담을 수 있는 모든 센서와 콘트롤러는 다 들어있다는 얘기...
1) 출시연도 : 2012년
2) 미디어 : 12cm 디스크 (기존 Wii 디스크도 호환)
3) 해상도 : 1080p 지원
4) 스토리지 : 콘솔내 메모리가 내장되어있고, SD메모리슬롯 및 외장 USB 하드디스크도 지원한다.
5) 기타 : 4개 USB 2.0 커넥터 제공
6) 기존 Wii 게임 및 콘트롤러, 악세사리와 호환됨
그럼 이 거대한 컨트롤러를 가지고 어떤 게임을 할수 있느냐... 예를 들면, 새로운 터치컨트롤러를 보면서 한사람이 도망을 가고, 나머지 4명의 플레이여는 기존 Wii 리모콘을 들고 TV화면을 보면서 쫓아가서 잡는 것이다. 게임예제는 아래 URL에서 비디오로 볼 수 있다.
1) 사운드시스템의 명가 BOSE에서 드디어 비디오웨이브시스템이라는 이름의 46인치 LCD HDTV를 출시하였다. 모든 스피커는 TV패널 뒤에 내장되어있다. 그런데, 시스템에 커넥티비티를 위한 콘솔이 하나 존재한다. 아무래도 이게 옥의 티... TV 두께도 상당하던데, 같이 결합하는게 좋지 않았을까... 아무튼, 독립된 콘솔은 이래저래 좀 실망스럽다. (알고보니, 기존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콘솔을 그대로 재활용하는듯... 즉, 기존 외장형 스피커 시스템만 TV패널에 통합하였음. 따라서, iPod도 쉽게 연결가능하다.)
2) 가장 기대가 되는 부분은 역시 BOSE 특유의 생생하고 풍부한 입체(?)사운드인데, 중앙에 장착된 6개의 우퍼와 TV상단의 7개의 스피커 (센터1개, 좌우 각각 3개씩)가 그 탄탄한 명성을 입증해 줄듯...
3) 재미있는 것은 클릭패드라는 터치패드가 장착된 초간단 리모콘이다. OK 버튼 주위로 터치패드가 장착되어있고, 손가락을 대는 순간, TV 화면 테두리가 코맨드 버튼으로 바뀐다. 원하는 코맨드로 이동후 OK버튼 누르면 끝... 아이디어는 나쁘지 않지만, 실제 사용성은 아무래도 직접 써봐야 알수 있을듯... 반응속도도 관건...
4) 가격은 미국현지에서 5349 USD인데, 환율 1100원으로 계산하면 약 600만원정도로 나름 합리적인 가격대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수입가격은 무려 847만원... ㅡ,.ㅡ;;
※ 아래 홈페이지에 가면, 간단한 설명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고, 360도로 돌려가며 TV와 콘솔, 리모콘을 살펴볼 수 있다.
iPhone, iPod등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형 도킹 스피커 Hohrizontal 51... 아이폰외에도 TV, 일반 mp3플레이여, 컴퓨터등을 연결 할 수 있고, 연결된 동안 충전도 가능하다. 좀 쓰다보면, 왠지 스피커보다는 선반으로만 쓰게 될 듯... ㅡ,.ㅡ;; 선반은 25킬로까지 버틸수 있다.
★ 10 Principles of Good Design by Dieter Rams : 디자이너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나의 디자인 철학을 열가지로 간추려 보았다. 하지만 이 관점들이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기술과 문화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그렇기 때문에 좋은 디자인에 대한 생각 역시 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1. Good design is innovative : 좋은 디자인은 혁신적이다. 혁신의 가능성은 결코 고갈되지 않는다. 기술의 발전으로 항상 혁신적인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제공된다. 혁신적인 디자인은 언제나 새로운 기술과 나란히 발전하기 때문에 그 자체에 끝이란 없다.
2.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seful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유용하게 한다. 제품은 필요해서 구입한다. 그 필요성의 기준은 몇 가지가 있다. 제품은 기능적으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나 시각적으로 만족을 주어야 한다. 좋은 디자인은 제품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따라서 필요성에 방해되는 모든 것을 무시해야 한다.
3. Good design is aesthetic : 좋은 디자인은 아름답다. 제품의 시각적 만족감은 필요성의 일부다. 왜냐하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제품은 우리 자신과 우리 삶의 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제대로 작업된 대상만이 아름답다.
4.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nderstandable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좋은 디자인은 제품의 구조를 명료하게 보여준다. 제품이 스스로 말하도록 하면 더 좋다. 가장 좋은 것은 스스로 설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5. Good design is honest : 좋은 디자인은 정직하다.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실제보다 더 혁신적이고, 더 강력하고, 더 가치 있게 보이도록 하지 않는다. 지킬 수 없는 약속으로 구매자를 속이려 하지 않는다.
6. Good design is unobtrusive : 좋은 디자인은 불필요한 관심을 끌지 않는다. 어떤 목적을 달성한 제품은 연장과 같다. 그것은 장식물도 아니고 예술작품도 아니다. 따라서 제품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자기표현이 가능한 여백을 남겨두기 위해서 중립적이고 절제되어야 한다.
7. Good design is long-lasting : 좋은 디자인은 오래 지속된다. 좋은 디자인은 유행을 쫓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절대로 구식이 되지 않는다. 유행을 쫓는 디자인과 달리 좋은 디자인은 오래 지속된다. 요즘 같이 쉽게 쓰고 버리는 시대에도 그렇다.
8. Good design is thorough down to the last detail : 좋은 디자인은 마지막 디테일까지 철저하다. 어떤 것도 임의로 혹은 우연히 만들어지지 않는다. 디자인 과정에서의 배려와 정확성은 구매자에 대한 존중을 보여준다.
9. Good desig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좋은 디자인은 환경 친화적이다. 좋은 디자인은 환경 보존에 중요한 공헌을 한다. 자원을 보존하고, 제품의 일생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각적 공해를 최소화한다.
10. Good design is as little design as possible : 좋은 디자인은 할 수 있는 한 최소한으로 디자인한다. 더 적은게 더 낫다. 좋은 디자인은 본질적인 것에 집중한다. 따라서 제품은 불필요한 짐을 지지 않는다. 순수함, 단순함으로 되돌아가자!
TP1 포켓 라디오 + 레코드 플레이여 (1959, Dieter Rams)
LE1 라우드 스피커 (1959, Dieter Rams) : 마치 애플의 시네마 디스플레이나 아이맥을 보는 것 같다.
T52 포터블 라디오 (1961, Dieter Rams)
T1000 월드 리시버 (1963, Dieter Rams) : 고급스러운 알루미늄 하우징과 스위치들도 당연히 아름답지만, 본체에 매뉴얼을 내장하는 수납함이 있다는 사실에 기절초풍...
집천장 전구소켓에 끼우는 기발한 LED 스피커 (LED전구 겸 스피커)... Lipsch LightSpeaker... 오디오 시그널은 무선으로 전송하고, 총 8개까지 연결가능하다. 라이트스피커 2개에 베이스 스테이션, 리모콘 포함 600불... 2010 CES 이노베이션 어워드 위너... 베이스스테이션과 리모콘 디자인이 좀 썰렁해서 당황... 새로 짓는 아파트에 옵션으로 넣어주면 아주 좋을듯...
소니가 준비하고 있는 하이엔드 CMT-Z100iR 마이크로 컴포넌트 오디오... iPod 장착이 가능하고, 탑로딩 cd 플레이여도 있다. 재미있는 기능 한가지... CD를 삽입하고, USB 커넥터에 메모리를 끼워두면, mp3포맷으로 녹음이 가능하다고... 스피커는 20W짜리 X2... 정확한 가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2009년 가을쯤 150 ~ 250 USD 정도로 출시되지 않을까 예상중...
무한 뾱뾱이의 뒤를 잇는 일본 반다이의 신제품 페리페리 키체인... 과자포장지를 뜯기위한 종이 스트랩에서 나는 "드르륵" 소리와 느낌을 재현하였다고 하는데, 소리는 역시, 내장된 미니 스피커와 배터리를 통해 난다. 가격은 약 1만원이고, 2008년 11월에 판매시작이라고... 아래는 유튜브에 올라온 홍보영상...
호주 디자이너 John Van Den Nieuwenhuizen의 Hidden Radio는 무척 심플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라디오 스피커를 원통형 뚜껑이 감싸고 있는데, 이 뚜껑을 위 아래로 이동시켜 볼륨을 조절하며 (위로 올리면, 스피커가 많이 개방되고, 아래로 내리면, 스피커 구멍이 조금만 노출되는 구조... ㅡ,.ㅡ;;), 좌우로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맞춘다. 다이얼이 라디오 주파수와 일치하면, 하단의 LED에 불이 들어온다.
180cm 높이, 12.5킬로 무게의 이 스피커는 유리튜브 전체가 진동해 주변으로 소리가 퍼져나가게 설계 되어 있고, 유리관 내부에는 세가지 색을 내는 조명기능 (리모콘으로 조정가능)도 있다. 가격은 105만엔이고, 2008년 6월 20일 발매 예정. 아무리 살펴봐도, 실로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제품 컨셉] 'TOK TAK'은 플러그를 빼고 꽂는 단순한 아날로그 연결 방식을 가진 미니 플러그 오디오로써 간결하고 명확한 UI(User Interface)와 휴대의 간편함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음악을 혼자 즐기고 상대방과 음악을 함께 듣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필요 이상의 많은 기능과 복잡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던 기존Mp3Player의 단점을 제거한 'TOK TAK'은 장소와 시간의 구애 없이 우리가 원할 때에 바로 찾고 들을 수 있는 인스턴트 즐거움이다.
Kaffe Matthews와 Annette Works의 공동작업인 Sonic bed_London 설치물은 빌트인 라우드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 침대이다. 관람객이 신발을 벗고, 침대에 올라가 누우면, 그동안 귀로만 들어왔던 음악을, 온 몸으로... 집중해서 들을 수 있다. 누워있으면, 마치 관(?)에 들어가 있는 듯한 섬뜩함도 느낄 수 있다.
★ 수정 2007-10-10 --> 위 "최초"를 두번째로 바꿉니다. 최초는 LG "LP3900" ㅡ,.ㅡ;;
상판 슬라이드를
아래로 내리면, 거대한(?) 스피커가 나타나는 삼성전자의 W3400 HSDPA 슬라이드폰... 비록, 멀티미디어 콘트롤용 버튼이 나타나는
노키아의 N95, 자동 로테이션 카메라기능이 달려있는 LG LP3900 컨셉을 차용(?)하긴 했으나, 버튼이나 카메라 만큼, 스피커도 유용한 듯
싶다... ㅡ,.ㅡ;;
2.3인치 QVGA 디스플레이가 시원하고, 블루투스, GPS, 외장 메모리 슬롯등이 탑재되어 있다.
언제부턴가 탑재되기 시작한, 음성인식 언어 번역기(영어, 일어, 중국어)도, 커다란 스피커 덕택에 더욱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듯... 조만간
"SHOW"로 출시 예정...
2007년 Red dot award에서 제품디자인상을 받은 스피커 의자 Sonic chair... Basic 모델의 기본가가 5850유로... ㅡ,.ㅡ;; 여기에, 피봇 테이블과 iPod 도킹 스테이션, 가죽스킨 옵션이 있다... 응접실에 하나쯤 두고 싶지만... 너무 비싸군... 아래 PDF에 상세내용이 다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