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Ford가 최근 미국 전역에 판매 중인 Fiesta, Focus, Fusion, Taurus와 같은 세단형 승용차에 대한 광고 집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실적 발표에서 앞으로 세단형 승용차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한 첫 번째 행보라 볼 수 있다. 포드는 해당 광고 예산을 Mustang이나 전기차 모델 등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테크니들)
스타벅스는 작년부터 LG와 함께 매장 맞춤형 공기청정기를 개발해왔다. 매장 내 미세 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추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타벅스 발표 직후, 삼성도 입찰전에 뛰어들었다. 업계 1위 스타벅스에 물건을 대면 다른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때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의 고급 이미지를 활용하면서 스타벅스 매장을 시스템 공기청정기 개발의 '테스트 베드'로 쓸 기회였다.
입찰 결과, 스타벅스는 "아직 삼성 제품은 매장에 설치할 만큼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다"고 밝혔다.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공기 질을 표시하는 기능이 아직 버벅거리고, 차를 타고 주문하고 커피를 받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 설치할 송풍구 1개짜리 공기청정기 개발도 마치지 못했다. 반면 LG는 국내 매장들에서 벌인 실전 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받았다고 한다.
18) 고프로 히어로7 출시 - 짐벌 수준의 영상 안정화 효과를 제공하는 HyperSmooth 기능, 새로운 형식의 타임워프 촬영모드등이 추가되었다. ($399) - 보드나라 기사보기
1)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을 두루 갖춘 융합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과학예술영재학교’(고교 과정)가 설립된다. 기계공학과 디자인을 합한 산업디자인, 정치·경제에 지구과학을 접목한 국제관계학 등 새로운 형태의 융합 과목들이 개설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현 중학교 1학년이 고교에 입학하는 2015년 3월 세종시에, 이듬해인 2016년 인천시에 과학예술영재학교를 출범시킨다고 25일 발표했다. STEAM(과학·기술·공학·예술·수학)과 인문학 심화 교과를 운영하는 국내 최초의 융합 인재 양성학교다. 각 시 교육청이 맡아 공립학교로 운영된다.
인생 대부분의 중요한 결정들이 그렇듯이, 창업 역시 완벽한 순간이 올때까지 기다려서는 안된다. 그건 의지부족의 핑계일 뿐이다. 준비를 충실히 하되, 본능을 따르라. 그리고 한 번 떠나면 뒤를 돌아보지 마라. 실수도 많이 하고 망하기도 많이 했지만, 난 한 번도 직장생활을 그만둔걸 후회하지 않는다. 그러지 않았다면 아마 그 후로 수십년 동안 답답한 사무실과 숨막히는 사내 정치속에서 그 자신 또한 희생자나 다름없는 회색빛 얼굴의 상사들로부터 명령이나 받으며 매일매일 출퇴근하는 삶을 살고 있었을 것이다. 그보다는 독립적인 삶을 살면서 성공하든 실패하든 내 자신의 노력에 의해 좌우되는 삶을 살고 싶다... (루크 존슨)
얼마전 애플과 스타벅스가, 아이폰 (또는 아이팟 터치로...)으로 스타벅스 가게에 가지 않고, 미리, 커피를 주문하고 나중에 알람을 해주면,
그때 찾으러가는 서비스 (길게 줄을 서지 않아도 됨... 야호~~)에 대해 특허도 내고, 준비중이라는 루머가 떠 돈적이 있습니다. iTunes
계정으로 돈을 낼 수도 있고, 바코드(Semacode)를 받아 커피를 수령할 때 보여주는 방식으로요... 아무튼, 위 이미지의 서비스 UI는 실제 애플이나
스타벅스에서 만든게 아니라, Phil Lu라는 디자이너가 그냥(?) 만들어 본 것이라고 함. 스타벅스 분위기가 물씬 나는 UI scheme에서
스타벅스 커피냄새가 진하게 나는 거 같음... ㅡ,.ㅡ;;
iPhone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status symbol' 이기도 한 보유자들은
이제 특정 클럽에 속해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스타벅스 매장에 길게 늘어선 주문 행렬에 줄을 서지 않아도 된다'는 부수적 특혜가
그것이다.
Apple은 최근 출원한 특허에서 iPhone 유저를 대상으로 미래의 킬러기능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iPhone 유저는 커피숍 등에서 iPhone을 통해 원격으로 상품주문이 가능해 매장에서 주문순서를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또한 주문한 상품이 준비되면 유저단말에 알림기능을 통해 이를 알려준다.
이러한 원격주문처리 기능을 발명한 Apple의 H/W
수석기술자 Anthony Fadell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휴대전화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가게
밖이나 원격지에서 상업적인 목적으로 음식이나 음료 등의 주문결제입력을 하는 것은 이미 우리생활에 널리 들어와 있으며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 결제에 휴대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매장 가까이에 있어야 하고 매장의 취급상품 일람과 각 아이템 가격 등을 알아야
한다.
비록 이들관련 정보가 모두 제공되고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다고 해도, 서비스/구입상품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일부
경우에는 신용카드와 선불카드를 휴대전화에 대고 상대방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또박또박하고 큰 목소리로 몇 번이나 전달해야 할 것이다. 혹은
음성정보 입력이 선택사항에 들어있지 않은 경우는 필요정보를 하나하나 입력해야 하는 수고가 따른다.
게다가 상점에 따라서 특정
지불방법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현금지불의 경우는 휴대전화와 PDA, 미디어플레이어 등을 이용해 누렸던 원격주문의 효율성을 거의
모두 잃어버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단 거래내용이 입력되면 매장 내/밖 주문이든 일괄적으로 매장 내에서 처리하는 최초의 주문으로
접수된다. 그러나 매장 밖에서 주문한 구매자는 상품수령에 걸리는 대략의 시간만을 알게 된다. 따라서 만약 주문한 상품이 완성되기 전에 매장에
도착하게 될 경우는 역시 줄을 서서 기다릴 수 밖에 없다. 또한 자신이 도착하기 훨씬 전에 상품이 나와있을 경우, 그것이 커피와 같은 뜨거운
음료라면 식어서 미지근해 질 것이다. 따라서 원격주문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더욱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상기 문제들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사실 이는 소비자와 매장 간 주문처리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이어주는 것으로, 상점거래를 자동화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더욱 큰 기회를 지적하는 것이다. 만약 Apple이 원격주문 처리기능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면, 아무래도 가게 앞에
긴 줄을 서는 일이 비일비재한 Apple store에서 먼저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특허신청에 지나지
않는다. 특허는 채택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아이디어가 iPhone용으로, 또는 그 외의 Apple 제품을 통해 실제로 세상에 나올 수
있을지 여부는 아직 모른다. 그러나 모바일 e커머스는 방법은 어찌됐든 '온라인 주문을 통해 즉시 구입가능'한 방향으로 나갈
것이다.
특허신청 내용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은 이러한 상거래에서의 지불방법이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iPhone이든 기타
디바이스를 통해서든 이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순한 모바일 주문시스템 뿐만이 아니라, 모바일지갑으로서의 기능을 완수하게 될
것이다.
향후에는 기존 신용카드와 휴대전화계정, 그리고 별도의 Apple 계정이 통합되는 것도 가능할 지 모른다. 통합계정관리를
누가 담당하게 되든 해당 사업자는 관련상품의 결제수수료도 챙기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생활 속에서 널리 들어오면 올수록 소비자들은
iPhone과 기타 모바일 단말을 더욱 선호하게 될 것이며, 향후 Apple은 인센티브 차원에서 이러한 서비스에 등록한 소매업자에게 수수료를
면제해 줄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