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HK G11 돌격소총_시대를 앞선 무탄피 소총 : 헤클러 앤 코흐는 약 25년전 ‘다이나밋 노벨(Dynamit Nobel)’사와 합작으로 무탄피 탄약인 DM11을 개발하였다. 서방 표준인 5.56×45mm NATO탄 보다 작은 4.73x33mm였는데, 한마디로 탄피를 제거한 만큼 크기가 축소된 형태였다. DM11은 탄피 대신 화약으로 탄두를 감싸고 뒤에 뇌관을 장착된 형태였다. 처음에는 빈번히 쿡오프 현상이 발생하여 애를 먹였는데 충격에는 민감하지만 열에는 강한 새로운 장약을 개발하면서 난제를 해결하였다.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7&contents_id=16686&leafId=107
디자이너가 자신의 의견을 주장해 클라이언트의 생각을 바꾸는 데도 일종의 자신감이 필요할 것 같다. 그런 자신감은 어디에서 오나?
디자인 컨설턴트는 특정 분야에 전문화되어 있지 않다. 모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배우는 과정이 포함된다는 말이다. TV든 의자든 처음에는 우리 앞에 놓이기 전까지의 과정에 대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다. 우리는 이런 제품이 어떤 기능을 하고, 우리가 이 제품을 디자인할 때 어떻게 제품의 가치를 높일 것인지 호기심을 갖고 제품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중요한 것은 전문가라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는 거다. 그렇게 되면 아무것도 배울 수 없고, 제 역할을 할 수도 없다. 디자인 과정에서 타협이라는 것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디자인했을 때 생기는 일이다. 예를 들어 TV를 디자인할 때 앞면에 유리를 쓸 수 있는지 확인하지 않고 디자인했다고 치자. 디자인을 다 하고 나중에 알고 보니 제조상의 문제로 유리를 사용하지 못한다면, 어쩔 수 없이 디자인에 타협을 봐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니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많은 질문을 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디자인 방향에 대한 관점이 명확해진다. 그럼 굳이 나중에 디자인을 타협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어떤 분야든 상관없이 디자인하는 것에 자신이 있다. 유일한 문제는 우리와 일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를 찾는 것이다.(웃음)
전혀 새로운 개념의 선풍기가 탄생하였다. 하단 원통형 받침대 쪽에서 공기를 끌어들여 이를 위로 보내고, 거대한 링의 가장자리 틈새로 바람을 뿜어내는 방식이다. 제임스 다이슨이 무려 3년간 절치부심끝에 개발하였다고... 일단, 팬이 없어 안전하고, 청소도 더 쉽고, 공기흐름은 훨씬 부드럽다. 10인치짜리, 12인치짜리 모두 가격은 199파운드 (약 37만원)로 동일하다. 정말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LED 링 플래쉬와 비슷한 효과를 내주는, 독특한 Ray Flash 어댑터... 일반 외장 플래쉬를 카메라에 장착하고, 발광부분에 이 어댑터를 끼우기만 하면 된다. 자체 전력공급도 필요없고, 복잡한 케이블도 없다. 기존 플래쉬 광을 렌즈주위로 분산하여 피사체 정면에 그림자를 만들지 않고, 주변으로만 부드러운 그림자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회사는 체코 회사... 무게는 모델마다 조금씩 다른데, 대략 460 ~ 480 그람 정도... 가격은 약 200불... 이 정도 가격이면, 아예 LED 링 플래쉬를 사는게 좋지 않을까... ㅡ,.ㅡ;;
<링2 한국판 포스터 : 사마라의 머리 가름마를 타고, 무서운 눈 하나를 그려넣었다... ㅡ,.ㅡ;;>
일본판 링2와는 완전히 다른 내용의 미국판 링2... 그러나, 감독은 "일본판 오리지날 링"의 나카다 히데오... 2000년 무렵 처음 보고, 끔찍할 정도로 무서웠었는데, 시간이 꽤 지나니, 이제 귀신이 TV안에서 걸어나와, 희생자들의 목을 졸라도, 별로 무섭지는 않게 되었다... 머랄까, 링2는 공포영화로서 충분히 재미있고, 매우 흥미로운 영화지만, 역시, 시간이 너무 오래 되버려서, "링" 특유의 여러가지 장치들은 이제 좀 식상해져 버렸다. 중간에 사슴떼들이 뿔로 차 유리창을 들이받는 장면이나, 마지막, 우물에서 사마라가 네발로 기어올라오는 장면등은 꽤 긴장되고 독특한 부분이다. 주인공 나오미 와츠의 섹시함도 좋고...